토지 구매시 꼭 체크해야할 것들 5가지.

“아니, 그런 건… 토지 구매하기 전에 미리 알아봤어야죠!”

이런 분쟁,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죠. 집 지을 수 없는 땅, 건물 크기가 예상보다 작게 올릴 수 밖에 없는 땅… 이런 것들, 건축주 입장에선 굉장히 중차대한 문제인데요, 과연 누구의 책임일까요? 부동산? 매도자?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다 ‘본인 탓’입니다. 토지 구매 전부터 미리미리 꼼꼼히 체크했었어야죠. 땅은 절대 모양이 예쁘다고, 향만 좋다고 덥석 사면 안 됩니다! 아니, 오히려 예쁜 땅일수록 더 꼼꼼히 따져봐야 할 게 많아요. 그럼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을 체크해 봐야 할까요? 크게 5가지를 정리해 봤습니다.

토지 구매, 잘못하면 누구 탓? 본인 탓!
(토지 구매, 잘못하면 누구 탓? 본인 탓!)

1. ‘신분증 좀 봅시다’ 땅의 주민등록증, ‘토지 프로필’ 확인하기

  • 이 땅에 집 지을 수 있나요? 제일 중요한 부분이죠. 땅이 아무리 넓고 좋아 보여도 건물을 지을 수 없는 땅이라면 그림의 떡입니다.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처럼 묶여있는 땅은 건축이 매우 제한적이에요.
  • 내 목적에 맞는 건물을 지을 수 있나요? 카페를 짓고 싶은데 근린생활시설이 안 되는 땅이라면 곤란하겠죠? 그리고 ‘건폐율(땅을 덮는 비율)’과 ‘용적률(건물을 쌓아 올리는 비율)’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 이걸 모르면 나중에 후회할 수 있어요.
  • 어디서 체크? 이것들 모두 국토부 토지이음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두 무료! 원하는 땅의 주소만 치면 누구든, 언제 어디서든 정보를 얻을 수 있죠. 이 외에도 공시지가 및 주변 개발 현황 등 토지 구매시 더 디테일하게 체크할 것들이 참 많아요. 이 부분은 나중에 또 자세히 다룰 기회가 있을 겁니다. 초보세요? 그럼 지금 당장 아래 링크로 들어가 가볍게 둘러보기. 차근차근 친해져 놓자고요!

2. ‘집 앞에 도로 있나?’ 도로 접근성 확인하기

  • 차가 다닐 수 있는 도로가 있나요? 아무리 예쁜 땅도 도로가 붙어있지 않으면? 집을 지을 수 없습니다. 아예 허가 자체가 나오지 않죠. 이것을 ‘맹지’라고 하는데요. 토지에 도로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땅으로 상대적으로 가치가 뚝 떨어집니다. 잘 팔리지도 않아 경매 단골 손님이기도 하고요. 이것도 직접 현장답사를 하지 않고 위 링크의 ‘토지이음’으로도 확인 가능합니다. 하지만, ‘현황도로’라고 하여 지적도상에는 없지만 실제로 사용되는 도로도 있다는 사실! 이건 토지 구매 전 반드시 현장에 나가 체크해봐야 하겠죠?

3. ‘오래된 땅 조심!’ 땅의 뼈대 ‘지반 안정성’ 확인하기

  • 땅은 튼튼한가요? 집은 땅 위에 짓는 거죠? 땅이 무르거나 침하될 위험이 있다면 큰일 납니다. 지반 조사를 꼭 해봐야 하죠. 또 이 지질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를 설계하면 지반에 맞추어 건물과 기초를 결정할 수 있고, 지반의 상태가 충분히 좋다면 건물에 들어가는 철근의 양이나 기초의 방식을 가볍게 할 수 있어 전체 집짓기 과정에서 이익이 된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의 영상을 참고!
  • 어째 불안불안 하다면? 지질조사를 해야하는 땅은 주로 기초를 쌓은지 오래된 단지, 또는 시공이 중단된 현장에 많습니다. 일단 딱 보기에도 연식이 좀 있는 필지다 생각되면 ‘기초 다 됐어요!’ 라는 시행사/시공사 말만 믿지 마시고요, 반드시 ‘지질 검사 확인서’를 요청하세요. 이걸 보지 않으면 추후 설계시 본인 자비로 지반 안정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검사 비용은 대략 200만 원에서 800만 원 정도. 이 비용을 누가 대던, 안전한 집을 짓기 위해서는 필수! 푼 돈 아끼려다 나중에 더 큰돈 나갈 수도 있답니다.

4. ‘땅 주인이 누고?’ 등기가 잘 돼 있는지 확인하기

  • 진짜 이 땅 주인이 맞나요? 계약 전에 반드시 등기부등본을 떼어봐야 합니다. 소유권이 명확한지, 누가 이 땅에 가압류나 저당권을 설정해 놓은 건 아닌지 확인해야 나중에 복잡한 일에 휘말리지 않아요. 이건 유료, 한 통에 500원입니다만, 대개는 부동산에서 서비스로 해줘요. 요즘은 워낙에 이 등기를 이용한 사기 사례가 많으니, 여러번 떼어 봤어도 반드시 토지 구매 전에 한번 더 떼어서 사실 관계를 명확히 정리해야합니다.

5. ‘편의점은 있나?’ 주변 인프라 확인하기

  • 사는 데 필요한 시설들은 다 있나요? 아무리 좋은 땅도 편의시설이 너무 멀거나, 자녀가 있는데 학교가 없거나, 아님 지병이 있는데 전문 병의원이 멀다면? 살기 여간 불편하겠죠? 따라서 토지 구매 전, 본인 입맛에 딱 맞는 인프라 접근성을 반드시 체크해 봐야합니다. 일단 여러차례 현장 답사는 기본. 또 차로만 돌지 마시고요, 반드시 걸어서 동네를 넓게 훑어보세요. 전에 보지 못했던 것들이 보이기 시작할 겁니다.
  • 그래도 여전히 ‘장님 코끼리 만지는 것’처럼 답답~ 하시다고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찍사홍의 모든 답사 노하우가 담긴 전자책 ‘단독/전원주택 답사 마스터북’. 기초적인 부동산 앱 보는 법부터, 큰 입지 & 작은 입지 보는 법까지 모두 한권에 담았습니다. 이것만 있으면 전국 어떤 전원마을 답사도 걱정 끝!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토지 구매전 필수체크 항목주요 내용
1. 토지 프로필건축 가능 여부, 보호지역 유무, 용도에 맞는 건축 (건폐율, 용적률) 확인
2. 도로 접근성차량 통행 가능 도로 유무 및 폭 확인
3. 지반 안정성안전한 건설을 위한 지반 조사 (200~800만원 비용 발생)
4. 등기 확인소유권 명확성, 가압류 등 권리 관계 확인
5. 인프라 확인찍사홍 레이더 차트 15항목 (생활 편의시설, 교육, 교통 등) 꼼꼼히 체크 (전자책 내용 확인)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전원주택 토지 구매, 잘못하면 누구 탓? ‘모두 다~ 님 탓!’ 그러니까 위 사항들 반드시 여러번 챙기세요. 그래서 결코 실패없는 주거독립의 반석, 꼭 세팅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더 유익한 내용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주거독립, 만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